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사흘? 나흘? 헷갈리지 마세요!)+달력 월 이름

by 성은의 길 2025. 7. 25.
반응형

우리는 보통 '1월 1일', '2월 15일'처럼 한자어로 된 날짜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우리말에도 아름답고 정감 어린 순우리말 날짜와 달력 표현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예쁜 순우리말 달 이름과 날짜 세는 방법, 그리고 많은 분이 헷갈려하는 ‘사흘, 나흘’ 차이까지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

 

1. 순우리말 달력: 잊혀진 우리말 '월(月)'

순우리말로는 각 달의 특징을 담은 고유한 이름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그 아름다운 뜻을 알아두는 것도 의미가 있습니다.

 

1월: 해오름달 (새해 아침 해가 힘껏 솟아오르듯 희망찬 달)

2월: 시샘달 (잎샘추위 꽃샘추위로 시샘하는 겨울 끝 달)

3월: 물오름달 (얼었던 땅에 물이 오르고 새싹이 돋는 달)

4월: 잎새달 (나뭇잎이 돋아나는 달)

5월: 푸른달 (모든 것이 푸르름을 더해가는 달)

6월: 누리달 (온 누리에 생명의 기운이 가득 차 넘치는 달)

7월: 견우직녀달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달)

8월: 타오름달 (하늘이 무척 뜨겁게 타오르는 달)

9월: 열매달 (가지마다 열매가 열리는 달)

10월: 하늘연달 (텅 빈 하늘이 열리는 달)

11월: 미틈달 (초겨울과 늦가을 사이, 틈새 같은 달)

12월: 매듭달 (한 해를 맺는 마지막 달)

 

이 외에도 다양한 순우리말 달 이름들이 존재했지만, 현대에 통용되는 공식적인 순우리말 달력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순우리말 달력

 

2.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 '하루, 이틀, 사흘…'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접하고 헷갈리는 순우리말은 바로 날짜를 세는 표현일 것입니다. '사흘이 멀다 하고', '나흘 연휴' 등 관용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정확한 의미를 알아봅시다.

  • 하루: 1일
  • 이틀: 2일
  • 사흘: 3일
  • 나흘: 4일
  • 닷새: 5일
  • 엿새: 6일
  • 이레: 7일
  • 여드레: 8일
  • 아흐레: 9일
  • 열흘: 10일

그 이후의 날짜는 '열'을 붙여 세거나, '스무', '서른' 등을 사용합니다.

  • 열하루: 11일
  • 열이틀: 12일
  • 열사흘: 13일
  • 열나흘: 14일
  • 보름(열닷새): 15일
  • 열엿새: 16일 
  • 열이레: 17일
  • 열여드레: 18일 
  • 열아흐레: 19일
  • 스무날: 20일
  • 스무하루: 21일
  • 이틀: 22일
  • 사흘: 23일
  • 스무나흘: 24일
  • 스무닷새: 25일
  • 스무엿새: 26일
  • 스무이레: 27일
  • 스무여드레: 28일
  • 스무아흐레: 29일
  • 서른날: 30일
  • 그믐(그믐날): 음력으로 한 달의 마지막 날 (31일)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

 

3. 헷갈리는 '사흘'과 '나흘', 완벽 정리!

많은 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표현이 바로 '사흘'과 '나흘'입니다. 종종 '사흘'을 4일로, '나흘'을 3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한자어 '사(四)'와 '나(四)'의 발음 유사성에서 오는 혼동으로 보입니다.

 

정확히 다시 한번 기억해 주세요!

  • 사흘 = 3일 (숫자 '셋'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나흘 = 4일 (숫자 '넷'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예시 문장으로 익히기]

  • "이번 연휴는 사흘 동안 이어집니다." (3일 동안)
  • "그는 나흘째 밤샘 근무를 하고 있다." (4일째)
  • "우리는 이틀 동안 여행할 예정이다." (2일 동안)
  • "시험까지 열흘밖에 남지 않았다." (10일)

 

순우리말 날짜 표현은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 헷갈릴 수 있지만, 몇 번 사용해 보면 금방 익숙해질 것입니다. 오늘부터라도 '삼일' 대신 '사흘'을, '사일' 대신 '나흘'을 사용해 보며 우리말의 멋을 살려보는 것은 어떨까요?

 

 

 

예쁜 순우리말 단어 100가지(마음을 울리는 아름다움 우리말 모음)

언어는 마음을 담는 그릇입니다. 특히 순우리말은 우리 조상들의 정서와 자연에 대한 감성을 담고 있어 그 자체만으로도 아름다운 향기를 풍깁니다. 오늘은 일상 속에서 잘 쓰이지 않지만 듣기

road.eeuju02.com

 

 

나이브하다 뜻? 순진한 걸까? 바보 같은 걸까? (좋은 의미 vs 나쁜 의미)

요즘 “나이브하다”라는 표현, 자주 들으시죠?“그 사람 좀 나이브하더라~”이럴 때 도대체 무슨 뜻일까요? 칭찬일까요? 아니면… 살짝 돌려 말하는 비판일까요?오늘은 이 애매~한 표현 ‘나이

road.eeuju02.com

 

 

영어 숫자, 날짜 : 기수 vs 서수, 헷갈리지 마세요!

저는 영어문장에서 숫자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 특히 날짜를 말할 때 기수(one, two, three)와 서수(first, second, third) 중 어떤 것을 써야 할지 헷갈리더라고요. 혹시 그런 경험이 있으신가요? "July 4"가

road.eeuju02.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