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경조사 봉투)

by 성은의 길 2025. 7. 18.
반응형

결혼식에 참석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축의금 봉투입니다. 하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이름을 어디에 써야 하지?', '봉투 앞뒤에 뭘 적는 게 맞을까?' 고민이 되시죠? 오늘은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 방법을 상황별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 법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 법

 

1. 봉투 앞면: 한자 대신 한글도 OK!

요즘엔 편의점이나 문구점, 대형마트에서는 보통 아래와 같은 경조사 전용 봉투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 결혼식장에 봉투가 비치되어 있고 앞면에 글씨가 인쇄되어 있어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래도 기본으로 어떤 문구를 쓰는지는 알아보겠습니다. 축의금 봉투 앞면에는 축하의 의미를 담는 문구를 적습니다. 전통적으로 한자를 많이 사용했지만, 요즘은 한글로 써도 전혀 문제없습니다! 

 

[자주 쓰는 문구]

  • 축 결혼 (祝 結婚): '결혼을 축하한다'는 뜻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 축 화혼 (祝 華婚): '아름다운 결혼을 축하한다'는 뜻으로 '축 결혼'과 함께 많이 쓰입니다. (주로 신부 측에 보낼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 축 성혼 (祝 盛婚): '성대한 결혼을 축하한다'는 뜻입니다.
  • 하의 (賀儀): '축하하는 예식'이라는 뜻으로, 축의금 자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 축 결인 (祝 結姻): '혼인을 맺음을 축하한다'는 뜻입니다.

[작성 팁] 봉투 앞면 중앙에 문구를 세로로 크게 써주세요. 한글로 쓰신다면 "결혼을 축하합니다"나 "두 분의 행복을 기원합니다"와 같이 풀어서 써도 좋습니다.

 

봉투 쓰는 법
봉투 쓰는 법

 

2. 봉투 뒷면: 내 이름은 어디에?

봉투 뒷면은 여러분의 정보를 적는 공간입니다. 

 

[필수 기재 사항]

  • 이름: 봉투의 왼쪽 하단에 세로로 본인의 이름을 적습니다. (예: 홍길동)
  • 소속: 필요에 따라 소속(회사명, 단체명 등)을 이름 옆이나 아래에 작게 덧붙여 줍니다. (예: 홍길동 (ABC 회사))

[작성 팁] 이름은 너무 크게 쓰기보다는, 앞면 문구의 1/2~2/3 정도 크기로 적는 것이 적당합니다. 이름 뒤에 '드림'이나 '올림' 같은 경어는 붙이지 않습니다.

 

축의금 금액
축의금 금액

 

3. 축의금 금액은 얼마가 적당할까?

관계 평균 축의금
일반 지인 5만 원
친한 친구, 직장동료 7만~10만 원
가까운 친척 10만~30만 원
형제자매, 조카 30만 원 이상
 

※ 요즘에는 3만 원 단위보다는 5만 원 이상이 일반적입니다.
참석여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부득이하게 결혼식에 못 갈 때는?

계좌이체로 축의금을 보냅니다. 이 경우에도 이름과 축하 인사 메시지를 함께 전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예: “결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부득이한 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해 아쉽습니다. 행복한 가정 이루시길 바랍니다.”

 

계좌이체로 축의금보내기
계좌이체로 축의금보내기

 

5. 경조사 봉투의 다른 활용: 조의금 봉투

결혼식 축의금 봉투와는 반대로, 장례식에서 사용하는 조의금 봉투는 또 다른 문구를 사용합니다.

 

[조의금 봉투 앞면 문구]

  • 부의 (賻儀): '상가에 부조로 내는 돈'이라는 뜻으로 가장 보편적입니다.
  • 근조 (謹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뜻입니다.
  • 조의 (弔儀): '애도의 뜻으로 내는 돈'이라는 뜻입니다.

조의금 봉투 역시 뒷면에는 축의금 봉투와 동일하게 왼쪽 하단에 본인의 이름과 소속을 적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 법, 어렵지 않으시겠죠? 오늘 알려드린 팁들을 활용하여 기쁜 날, 정성스러운 마음을 담은 봉투를 전달하시길 바랍니다. 

 

 

 

생일축하글 모음(센스있는 좋은글귀, 멋진글 문자 메세지) 가족, 친구, 직장동료까지!

매년 돌아오는 소중한 사람들의 생일. "생일 축하해!"라는 평범한 인사 대신, 당신의 마음을 더욱 특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센스 넘치는 문구들을 찾고 계셨나요? 흔한 메시지는 이제 그만! 받는

road.eeuju02.com

 

 

자녀에게 힘이 되는 말(좋은 문구)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 인생을 바꾼다!

우리 아이가 마음이 좋지 않거나, 시험에 실패하거나, 친구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때 부모로서 어떻게 말해줘야 할지 막막할 때가 많죠. '괜찮아', '다 잘 될 거야'라는 뻔한 위로보다는, 아이의

road.eeuju02.com

 

 

사랑 사자성어 모음 (자식 사랑부터 부부, 인간애까지 깊이 있는 한자표현!)

사랑이라는 감정은 시대와 문화, 언어를 초월하여 인류 보편의 가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한자 문화권에서는 사랑을 단순한 감정 이상으로 여겨 깊은 뜻을 담은 사자성어로 표현해 왔습

road.eeuju02.com